동양의 사상/장자 2007. 7. 27. 00:33


다시 읽는 동양고전 4

莊 子내편(內篇)

莊子今註今譯, 陳鼓應,

中華書局(香港), 1991


제2 편

제물론(齊物論)
On Levelling All Things

2.

大知閑閑, 小知閒閒., 大言炎炎, 小言詹詹.
其寐也魂交, 其覺也形開, 與接爲■, 日以心鬪.
■者, ■者, 密者.
小恐■■, 大恐■■.

큰 지혜는 너그럽고 한가하나 작은 지혜는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위대한 말은 깊은 감동을 주지만 보잘 것 없는 말은 따지려고 든다.
그것은 우리가 잠들어 혼과 교류상태에 있을 때나
깨어나 감각이 작용하여 사물을 대할 때나
자신이 마주치는 환경에 늘 마음의 갈등을 겪기 때문인데,
그래서 느긋한 사람, 음흉한 사람, 비밀스러운 사람이 있게 되고,
소심해서 작은 걱정들에 놀라기도 하고,
크게 놀라 정신을 잃고 허둥대기도 하는 것이다.

"Great wisdom is generous; petty wisdom is contentious.

Great speech is impassioned, small speech cantankerous.
"For whether the soul is locked in sleep

or whether in waking hours the body moves,

we are striving and struggling with the immediate circumstances.

Some are easy-going and leisurely, some are deep and cunning,

and some are secretive.
Now we are frightened over petty fears,

now disheartened and dismayed over some great terror.

其發若機■, 其司是非之謂也., 其留如詛盟, 其守勝之謂也.,
其殺若秋冬, 以言其日消也., 其溺之所爲之, 不可使復之也.,
其厭也如緘, 以言其老■也., 近死之心, 莫使復陽也.

화살같이 말을 빨리 한다는 것은

시비를 잘 가리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요,

맹세를 하듯 딱 잡아뗀다는 것은

자기 고집만으로 남을 이기려 드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인 것이다.

그리고 그 시들어 가는 것이 가을이나 겨울 같은 사람이라고 하는 것은

날마다 자기의 본 모습을 잃어 가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니,

이런 사람은 물욕에 계속 집착하고 빠져들어

다시는 돌이킬 수 없게 된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막고 봉해진 것이

오래된 하수구처럼 꽉 막힌 사람이라는 것은

늙어서도 욕심을 버리지 못하고 더 심해지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니

그 마음이 이미 죽음에 이르러

다시는 빛을 향해 되돌릴 수 없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인 것이다.

Now the mind flies forth like an arrow from a cross-bow,

to be the arbiter of right and wrong.

Now it stays behind as if sworn to an oath,

to hold on to what it has secured.

Then, as under autumn and winter's blight, comes gradual decay,

and submerged in its own occupations,

it keeps on running its course, never to return.

Finally, worn out and imprisoned,

it is choked up like an old drain, and the failing mind shall not see light again .

喜怒哀樂, 慮嘆變■, 姚佚啓態., 樂出虛, 蒸成菌.
日夜相代乎前, 而莫知其所萌. 已乎, 已乎! 旦暮得此, 其所由以生乎!

모든 사람에게는 기쁨과 노여움, 애달픔과 즐거움, 걱정과 한탄,

변덕스러움과 겁 많음, 그리고 까불기와 방탕하기, 솔직함과 허세 따위가 있어,

그것들이 마치 음악이 피리의 빈 공간에서 나오듯,

버섯이 습기 머금은 땅 속에서 돋아나듯,

밤낮으로 번갈아 가며 우리 앞에 나타나지만

우리는 그것이 어디서 비롯되는지는 알지 못하니 참으로 안타깝구나.
하지만 때늦게라도 이 자리를 깨달으려고 조금만 노력한다면

이런 감정들이 어디에서 비롯되어 나오는지

그 본래의 유래한 자리를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Joy and anger, sorrow and happiness, worries and regrets,

indecision and fears, come upon us by turns, with everchanging moods,

like music from the hollows, or like mushrooms from damp.

Day and night they alternate within us, but we cannot tell whence they spring.

Alas! Alas! Could we for a moment lay our finger upon their very Cause?

非彼無我, 非我無所取. 是亦近矣, 而不知所爲使.
若有眞宰, 而特不得其朕. 可行已信., 而不見其形, 有情而無形.

만일 그런 감정들이 없다면 <나> 라고 하는 것도 없을 것이고,

<나>라고 하는 것이 없었다면 그 감정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것도 없을 것이다.
이렇듯 그것과 나의 관계는 지극히 가깝지마는

누가 그렇게 시키고 있는 줄은 알지 못한다.

참다운 주재자가 있을 것 같은데 그 행적을 특별나게 볼 수도 없고,

그것이 작용함을 믿지마는 역시 그 형체를 볼 수가 없으니

그것은 아마 그 참다운 주재자란 감정을 매개로 해서 드러내는

실체는 있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형상은 없는 내면의 실재이기 때문일 것이다.

"But for these emotions I should not be.

Yet but for me, there would be no one to feel them.
So far we can go; but we do not know by whose order they come into play.
It would seem there was a soul; but the clue to its existence is wanting.
That it functions is credible enough, though we cannot see its form.
Perhaps it has inner reality without outward form.

百骸.九竅.六藏, ■而存焉, 吾誰與爲親?
汝皆說之乎? 其有私焉?
如是皆有爲臣妾乎? 其臣妾不足以相治乎? 其遞相爲君臣乎?
其有眞君存焉?


우리 몸에는 백 개의 뼈마디와 아홉 개의 구멍과 여섯 개의 내장이 있는데

나는 그 어느 것을 가장 사랑해야 하는가?

이것들을 모두 똑같이 사랑할 것인가? 아니면 특별히 어느 하나만을 더 사랑할 것인가?

아니면 그 모두를 첩이나 신하로 삼을 것인가?

그 신하나 첩들이 그들 스스로 잘 다스리게 하는 수는 없을까?

만일 그렇지 못하면, 그들이 번갈아 가면서 주인과 신하가 되게 할 수는 없을까?

아니 이 모든 것을 주재하는 진정한 주재자가 있지 않겠는가?

"Take the human body with all its hundred bones,
nine external cavities and six internal organs, all complete.
Which part of it should I love best?
Do you not cherish all equally, or have you a preference?
Do these organs serve as servants of someone else?
Since servants cannot govern themselves,
do they serve as master and servants by turn?
Surely there is some soul which controls them all.

如求得其情, 與不得, 無益損乎其眞.
一受其成形, 不化以待盡.
與物相刃相靡, 其行進如馳, 而莫之能止, 不亦悲乎!
終身役役, 而不見其成功, ■然疲役, 而不知其所歸, 可不哀邪!


그 진정한 주재자인 실재는

우리가 그것을 찾아서 깨닫게 되든 그렇지 못하든

그 참에는 아무런 더함도 덜함도 없을 것이다.
그것은 그 주재자가 이 형체를 지닌 육신 속으로 한번 들어오면,

그 육체가 소멸될 때까지는 자신에게 주어진 길을 따라

마냥 달려가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한번 받은 이 육체를 가지고,

사물에 얽매여 서로 거슬리기도 하고 서로 따르기도 하면서,

마치 달리듯 나아갈 줄만 알고 멈출 줄을 모르니 어찌 슬프지 아니한가?

그러므로 평생토록 허덕이고도 그 성공을 보지 못하고 고달파 쓰러지면서도

그 돌아갈 바를 알지 못하니 또한 애달프지 아니한가?

"But whether or not we ascertain what is the true nature of this soul,

it matters but little to the soul itself.
For once coming into this material shape, it runs its course until it is exhausted.

To be harassed by the wear and tear of life,

and to be driven along without possibility of arresting one's course,

-- is not this pitiful indeed?

To labor without ceasing all life, and then, without living to enjoy the fruit,

worn out with labor, to depart, one knows not whither,

-- is not this a just cause for grief?"

人謂之不死, 奚益! 其形化, 其心與之然, 可不謂大哀乎?
人之生也, 固若是芒乎? 其我獨芒, 而人亦有不芒者乎?

이렇게 살면서 남들이 「너는 아직 죽지 않았다」고 한들 무슨 이익이 있겠는가?
그리고 이렇게 살다가 몸이 변하면 마음도 따라 변할 것인데

이 어찌 큰 슬픔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사람의 삶이란 원래 이렇게 어리석은 것인가?

아니면나만 홀로 어리석고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것인가?

"Men say there is no death -- to what avail?

The body decomposes, and the mind goes with it.

Is this not a great cause for sorrow?

Can the world be so dull as not to see this?

Or is it I alone who am dull, and others not so?"


평역 : 푸른글

4340. 7. 26

參考文獻 :

禪詩와 함께 엮은 壯子, 金達鎭 譯解, 고려원 (1987)

老子 壯子,李錫浩 驛 三省出版社 (1982)

莊子今註今譯, 陳鼓應, 中華書局(香港) (1991)

영문참고사이트

http://www.religiousworlds.com/taoism/index.html

posted by 푸른글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