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상/탁닛한 2020. 7. 12. 00:16

Thundering Silence 1993

우뢰와 같은 침묵

by Thich Nhat Hanh

탁닛한

죽음이 무엇인가 하고 묻자 법정스님은 말씀하셨습니다.

"우뢰와 같은 침묵으로 돌아가는 일이다." - 류시화

번역자에 대해서 :

이 글은 2001.3 부터 2001.12 까지 8개월에 걸쳐 '허정천'님이 넷츠고 불교동호회 게시판에 올린 글을 갈무리한 것이다.

 

Commentaries

해설

  

15. THE WAY TO PRACTICE THE TEACHINGS OF NO-SELF

무아(無我)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법

 

When we realize the true nature of no-self, we can let go of all of the grounds of view. We no longer need to cling to or identify ourselves with anything, and we will no longer fall into states of confusion, anxiety, or sorrow. To receive the teachings of no-self requires us to use our full intelligence and skillfulness. If we do not, these same teachings can cause us confusion, anxiety, and sorrow, especially during times of upheaval and loss in our lives. If we receive the teachings of no-self incorrectly, we may think they are about nihilism and destruction, and feelings of despair may overwhelm us.

* overwhelm: 압도하다, 뒤덮다

무아(無我)의 참 본질을 깨닫게 될 때 우리는 모든 견해가 생겨나는 근본 원인을 놓아버릴 수 있게 됩니다. 우리는 더 이상 무엇인가에 매달리지 않아도 되고, 그 무엇인가에 연계하여 우리 자신을 입증하지 않아도 되며, 더 이상 혼란, 근심, 슬픔 속에 빠져들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무아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려면 우리의 모든 지혜와 고도의 숙련을 이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이 동일한 가르침이 우리에게 혼란과 근심과 슬픔을 가져다 주게 되며, 특히 우리 생에 큰 격변(激變)이 닥치거나 낭패를 당하게 되었을 때 더욱 그러합니다. 이 무아의 가르침을 그릇되게 받아들일 때 우리는 마치 이것이 허무주의, 파멸주의인 것으로 생각하게 되고 낙담하는 마음에 휩쓸리고 말게 됩니다.

If we believe the world is a self, that we are that self, and that we will endure as long as the world endures, when we hear the Buddhist teaching of no-self and we are not ready for it, we will immediately fall into a state of confusion. From being caught in a view that everything exists, we will descend into a view that nothing exists. From being caught in a view that everything is permanent, we will descend into a view that everything is nonexistent. Even though the teachings on no-self are not theories of nihilism or destruction, if we receive them as if they were, we have caught the snake by the tail. A brahman could fall into this condition. From his belief in self, he could descend into the confusion of nihilism and nonbeing:

* descend: 내리다, 하강하다, 옮기다.

만일 세계가 자아라고 믿고, 우리가 바로 그 자아이며, 세계가 지속하는 한 우리도 지속된다고 믿어왔다면, 부처님이 내리신 무아의 가르침을 듣고 아직 이에 대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각 혼란 상태에 빠져들게 될 것입니다. 모든 사물은 존재한다는 견해에 사로잡힌 상태로부터 존재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라는 견해로 급작스럽게 옮겨가게 되는 것이며, 모든 사물은 영원하다는 견해에 사로잡힌 상태로부터 모든 사물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라는 견해로 급작스럽게 옮겨가게 되는 것입니다. 무아의 가르침은 허무주의도 파멸주의도 아닌 것이지만 우리가 이를 그런 것인양 잘 못 받아 들인다면, 이는 뱀을 꼬리로부터 잡으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브라만 교가 이런 상황에 빠지기 쉽습니다. 자아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허무와 비존재의 혼란으로 빠져들게 되기 쉽습니다.

"World-Honored One, can fear and anxiety arise from an external source?" The Buddha taught, "Fear and anxiety can arise from an external source. You may think, 'This is a self. This is the world. This is myself. I will exist forever.' Then if you meet the Buddha or a disciple of the Buddha who has the understanding and intelligence to teach you how to let go of all views of attachment to the body, the self, and the objects of the self with a view to giving up pride, internal formations, and energy leaks, and you think, 'This is the end of the world. I have to give up everything. I am not the world. I have to give up everything. I am not me. I am not a self. I will not exist forever. When I die, I will be completely annihilated. There is nothing to look forward to, to be joyful about, or to remember,' you will feel sad and become confused and despairing. This is how fear and anxiety can arise from an external source."

"세존이시여, 두려움과 근심이 외부의 근원으로부터도 생겨나나이까?" 부처님께서 가르치셨다. "그러하니라. 두려움과 근심이 외부의 근원으로부터도 생겨나느니라. 너희가 생각하기를 '이것 이 자아이며, 이것이 세계이다. 이것이 바로 나 자신이며, 나는 영원히 존재하리로다.' 그러던 중 너희가 깨달음을 얻고 지혜를 갖춘 부처나 부처의 제자를 만나 그들이 물질과, 자아라 하는 것과 자아가 지향하는 모든 목표에 대한 집착을 놓아버리고, 자만심과 내면적 욕망과 유루(有漏)한 모든 것을 던져버리는 방법에 대한 가르침을 들었을 때 너희가 이렇게 생각하리로다. '이것이야 말로 세상의 종말이다. 나는 내가 아니며, 나는 자아라는 존재(the self)가 아니므로 영원히 존재하지 못하는구나. 내가 죽으면 나는 완전히 소멸되리니, 내가 미래에 대하여 기대할 것도, 즐거워 할 것도, 또는 기억할 것도 아무것도 없도다.' 너희는 슬퍼지고, 혼란스러워지고, 자포자기하는 마음이 될 것이로다. 이렇게 두려움과 근심이 외부의 근원으로부터 생겨나느니라."

We can lose faith in the presence of a self for reasons that are within ourselves, and when we hear the teachings of no-self, we can lose that faith for reasons that are outside ourselves. If we lose that faith in the self from hearing the teachings, we are like one who is bitten by a snake while trying to catch it. This is the theme of this sutra.

자아라는 것이 실재(實在)한다는 믿음을 잃게 되는 계기가 우리 자신의 내면적 이유로부터 올 수도 있으며, 또한 무아에 대한 가르침을 듣는 것과 같이 외부적인 이유로부터 올 수도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이 가르침을 들었기 때문에 자아에 대한 믿음을 잃게 되었다면 우리는 마치 뱀을 잡으려다 뱀에게 물린 사람이 되는 격입니다. 이것이 이 경의 주제(主題)입니다.

Reading the sutra this far, we understand how many people have misunderstood the teachings of no-self. We have learned that among the Five Aggregates of personality and the world, there is nothing that is not subject to change. But we should note that the Buddha never taught that the Five Aggregates and the world are nonexisting. The coming together of the Five Aggregates is an existence, although it is an impermanent and selfless existence. This existence is impermanent and selfless, therefore in its essence it cannot be described as being or not being, eternal or subject to annihilation.

경을 여기까지 읽게 되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무아의 가르침을 잘못 이해하여 왔을 것인지에 대하여 알게 됩니다. 우리의 인격을 구성하는 오온(五蘊)과 그리고 이 세계, 그 어느 것도 변화하지 않는 것은 없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러나 주의하여야 할 점은 부처님께서 오온과 세계가 실재(實在)하지 않는다고 가르치신 적은 결코 없다는 것입니다. 비록 영속적이지는 못하고 자아라 할 것이 없는 그런 실재이지만, 오온이 이리저리 얽혀진 것이 바로 실재입니다. 이 실재(있음)는 무상(無常)하며 자아라고 할 것이 없는 있음이므로 본질적으로 이를 존재나 비존재, 영원함 또는 허망함 등으로 기술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The Five Aggregates and the world transcend the four categories of being (bhava), nonbeing (abhava), permanence (sassata), and annihilation (uccheda). This is the Buddha's teaching of the Middle Way. It is offered in many sutras of both the Northern and Southern Tradition. The following passage from the Sutra on the Middle Way elucidates this point:

* transcend : 초월하다, 능가하다

오온과 세계는 있음, 있지 아니함, 항상함, 허망함의 네 가지 범주에 속하는 것이 아니며 이의 밖에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중도(中道-Middle Way)라는 부처님의 가르침이신 것입니다. 이와 같은 내용은 북방, 남방의 많은 경전 속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중도에 관한 아래의 말씀은 이와 같은 뜻을 잘 설명해 줍니다.

"When someone observes the coming-to-be of the world, he is not caught in the idea that the world does not exist. When someone observes the fading away of the world, he is not caught in the idea that the world exists. Kaccayana, in the world there are two extreme views: the view of being and the view of nonbeing. The Tathagata is not caught by either view. He teaches the Dharma of the Middle Way." (Samyukta Agama, Sutra 301, equivalent to Kaccayanagotta Sutta, Samyutta Nikaya II, 16-17.)

* Kaccayana : 카챠야나 존자, 중도에 관한 부처님의 말씀 가전연경을 듣고 번뇌를 끊어 아라한이 됨. Kaccayanagotta Sutta : 잡아함 301 가전연경

"사람들이 세계가 생성되어 실재하는 것을 바라볼 때는 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생각에 집착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세계가 소멸되어 가는 것을 바라볼 때에는 세계가 존재한다는 생각에 집착하지 않는다. 카차야나여, 세상에는 두 극단(極端)의 견해가 있나니 "있음"의 견해와" 있지 아니함"의 견해가 그것이니라. 여래는 그 어느 견해에도 매이지 아니하노라. 여래는 중도의 법을 설하느니라." (잡아함 301 가전연경, 상응부경전 II, 16-17)

 

16. THE NON-ACHIEVED AND THE NON-EXPRESSED

이룬 바도 없으며 설(說)한 바도 없음

 

In the Sutra on Knowing the Better Way to Catch a Snake, the teachings on no-self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the brahmanic belief of Self (Atman).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the Buddha usually spoke of self in terms of the three different ways of being caught in the view of self: (1)self (me, I), (2) object of self (mine), and (3) self within something or something within self. To understand this, let us look at the example of the body:

뱀을 잡는 더 나은 방법 알기 경에는 무아의 가르침이 브라만교의 자아 즉 아트만과의 상관관계 속에서 기술되어 있습니다. 불교교단 내에서는, 부처님께서는 보통 자아라는 개념을 자아라는 견해에 사로잡힌 세 가지의 다른 형태에 따라 말씀하고 계십니다. 그 첫 번째는 자아 즉 나, 두 번째는 나의 것(소유), 세 번째는 내가 속한 것 또는 내게 속한 것, 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 몸에 대한 예를 살펴보기로 합시다.

1. I am this body. We identify our self with our body. "I am the body. The body is me."

2. This body is mine. I and the body are not identical. The body is my possession, like my name, my belongings, or my bank account.

3. I am in this body, this body is in me. The body is not me, but I am present in the body. I am not the body, but the body is in me. The self lies in the body and the body lies in the self. In Chinese this is called xiang zai, "mutual inter-containing." This view is the most subtle and is linked to the idea, developed by a few later Buddhist schools, that the self is not the Five Aggregates, but without the Five Aggregates, the self cannot exist.

* xiang zai(mutual inter-containing): 相在서로에 의해 서로가 존재함

1. 나는 이 몸이다. 우리는 우리의 정체성(正體性)을 몸으로부터 찾습니다. "내가 이 몸이며, 이 몸이 바로 나이다."

2. 이 몸이 나의 것이다. 나와 몸이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몸은 나의 이름이나, 소지품이나 은행구좌와 같이 나의 소유입니다.

3. 나는 이 몸 속에 있으며, 이 몸 또한 내 속에 있다. 몸이 곧 나는 아니지만, 나는 몸 속에 현재(顯在) 합니다. 내가 곧 몸은 아니지만, 내 속에 몸이 있습니다. 즉 자아가 몸 속에 있으며 몸이 자아 속에 있습니다. 중국말로는 이를 상재(相在)라 하여 상호 간에 서로를 포함하는 뜻으로 말 합니다. 이 견해는 아주 세밀한 견해로서 후기 일부 불교 학파에서 발전시킨 개념, 즉 자아가 곧 오온(五蘊)은 아니며 그러나 오온 없이는 자아가 존재할 수 없다는 개념과도 연계되어 있습니다.

These three categories (of being caught in the view of self) are mentioned in many sutras, especially in the Samyukta Agama and the Samyutta Nikaya. They are three traps we may fall into. When we are free of the first two traps, we may still fall into the third, which is more subtle. Among Buddhists in many traditions, there are always people looking for a ground of views so they can establish a subtle sense of self, because, as we have already seen, the need to cling to a self is a powerful one.

* Samyukta Agama: 잡아함경 Samyutta Nikaya: 상응부 경전

이들 (자아라는 견해에 사로잡힌 바) 세 가지 견해는 많은 경전, 특히 잡아함경과 상응부 경전 속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이들이 우리가 빠지기 쉬운 세 가지 함정 입니다. 우리가 앞의 두가지 함정에 빠져들지 않은 경우에도 자칫 더 미묘한 세 번째 함정에는 빠져들기 쉽습니다. 여러 종파의 교단에 속한 불자들 중에는 언제나 자아라는 세밀한 견해를 세우기 위하여 그 근거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며, 이는 우리가 이미 본 바와 같이 자아에 집착하려는 욕구가 강렬한 것인 때문입니다.

The Sutra on Knowing the Better Way to Catch a Snake is unique in that it mention the sixth ground of views, "the world is self," which is a fourth trap, after the view of xiang zai, or mutual inter-containing. The Buddha teaches that the idea of "I" or "me" arises on the basis of the idea of "mine," and the idea of "mine" arises on the basis of the idea of "I" or "me." Both are wrong perceptions, with no basis, so they cannot be established or grasped. If we try to establish and hold on to an idea of self, we just bring suffering and despair on ourselves. Thus the four traps, or ways of establishing a self, are only a smoke screen of wrong perceptions--- internal forma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our present and future suffering.

* smoke screen: 연막, 위장 internal formation: 심적형성, 행의 기본이 되는 욕구

이 뱀을 잡는 더 나은 방법 알기 경(經)은 그릇된 견해들의 여 섯번째 근거인 "세계가 곧 자아"라는 네 번째 함정을 앞서 말한 상재(相在) 즉 상호 간에 서로를 포함하는 개념 다음에 언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합니다. 부처님께서는 "나다" 하는 생각은 "내 것이다" 하는 생각을 기반으로 하여 생겨나며, "내 것이다" 하는 생각은 "나다" 하는 생각을 기반으로 하여 생겨난다고 가르치십니다. 이 두 생각 모두 그 기반을 허망함에 두고 있는 그릇된 인식이며 따라서 이들 개념은 성립할 수도 파악할 수도 없습니다. 우리가 자아라는 개념을 세우고 이에 집착하려 하면 우리는 스스로 자신에게 고(苦-번뇌)와 자포자기를 가져다주는 결과가 되고 맙니다. 그러므로 이 네 번째의 함정 즉 자아를 성립시키려는 방법도 단지 그릇된 인식의 위장일 뿐이며, 우리의 현재와 미래의 고(苦)의 인(因)이 되는 심적 형성(오온 중 하나인 행을 이루는 욕구의 개념)에 지나지 않는 것입니다.

This is the Buddha's teaching: "Whenever there is an idea of self, there is also an idea of what belongs to the self. When there is no idea of self, there is no idea of anything that belongs to the self. Self and what belongs to the self are two views that are based on trying to grasp things that cannot be grasped and to establish things that cannot be established. Such wrong perceptions cause us to be bound by internal formations that arise the moment we are caught by ideas that cannot be grasped or established and gave no basis in reality."

부처님의 가르침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아라는 관념이 있으면 언제나 자아에 속하는 어떤 것에 대한 관념 또한 있게 되며, 자아라는 관념이 없으면, 자아에 속하는 아무 것도 없게 되리라. '자아'와 '자아에 속하는 어떤 것'이란 두 가지 (허망한) 견해일 뿐이나, 사람들이 이를 근본 삼아 잡을 수 없는 것을 잡으려 하고 세울 수 없는 것을 세우려고 하는구나. 이러한 잘못된 지각이 심적 형성(의지 현상)이 되어 우리를 구속하며, 이 의지현상이 우리로 하여금 잡을 수도 세울 수도 없으며, 실상(實相-reality) 속에 그 근거가 없는 망념을 일으켜 우리를 속박하는 계기(moment)가 되는 것이다."

The Five Aggregates and the world have their own suchness. Our ideas about the Five Aggregates arise within the framework of notions of existence, nonexistence, permanence, destruction, and so on. These notions cannot contain or hold reality, just as a net cannot contain or hold space. That is what is meant by "cannot be grasped" and "cannot be established." Such teachings are important in Buddhism. The Sanskrit term for "ungraspable" is anupalabhya. Here it is translated as "cannot be grasped" and "cannot be established." Despite the inestimable importance of this teaching, it was never developed to its fullest by either the Saravastivada or Tamrasatiya schools of Buddhism.

* Saravastivada or Tamrasatiya schools: 초기 불교 학파

오온과 세계는 각기 나름대로의 그러함(suchness)을 지닙니다. 오온에 대한 우리의 관념은 존재, 비존재, 항상함, 파멸 등의 개념이 갖는 범주 속에서 형성됩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마치 그물이 허공을 가두지 못하는 것처럼 그 안에 진리를 포함할 수도 없으며 또한 담아 두지도 못합니다. 이것이 바로 "잡을 수도 세울 수도 없다"는 표현이 의미하는 바 입니다. 불교의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산스크리트 어로 "잡을 수 없음"을 anupalabhya 라고 한다는데 여기서는 이를 "잡을 수도 세울 수도 없음"이라고 번역하였습니다. 이 가르침의 더할 나위 없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가르침은 불교의 두 학파 Saravastivada 및 Tamrasatiya의 어느 학파에 의해서도 충분히 깊게 연구되지 못했습니다.

 

17. NIRVANA

열반

 

Nirvana is another teaching that is easily misunderstood. The basic meaning of nirvana is "extinction," or "to blow out a flame." It means to blow out the flame of afflictions, suffering, and hatred. It also means the extinction of ideas of existence, nonexistence, permanence, destruction, impermanence, no-self, Middle Way, ungraspable, samsara, and even nirvana itself. In spite of this, many people continue to understand nirvana as a state of nothingness and annihilation. The snake of the teachings on nirvana is frequently grasped by the tail.

열반이라는 것 역시 자주 잘못 이해되는 가르침 중 하나입니다. 열반이라는 단어의 기본적 의미는 "소멸(消滅)" 또는 "화염(火焰)을 불어 끔"의 뜻입니다. 이는 번뇌와 고와 증오의 불길을 불어 꺼버린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또 존재, 비존재, 영원함, 파멸, 무상함, 무아, 중도, 잡을 수 없음, 윤회, 그리고 심지어는 열반 그 자체의 개념을 소멸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열반이란 무(無)와 적멸(寂滅)의 상태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열반이라는 가르침의 뱀 꼬리를 잡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

In the Sutra on Knowing the Better Way to Catch a Snake we read, "If, when he considers the six bases for wrong views, a bhiksu does not give rise to the idea of 'I' or 'mine,' he is not caught in the chains of this life. Since he is not caught in the chains of this life, he has no fear. To have no fear is to arrive at nirvana. Such a person is no longer troubled by birth and death; the holy life has been lived; what need to be done has been done; there will be no further births or deaths; and the truth of things as they are is known."

"뱀을 잡는 더 좋은 방법 알기 경"에는 이렇게 쓰여져 있는 것을 우리가 읽었습니다. "비구가 그릇된 견해의 여섯 근본을 고찰할 때에 만일 '나다', '내 것이다'라는 생각을 일으키지 아니하게 되면 그는 이 생의 윤회사슬에 얽매이지 않느니라. 그가 생의 윤회 사슬에 얽매이지 않는 까닭에 두려워하지 않으며 두려워 하지 않음으로 곧 열반에 이르는 것이니라. 이 사람이 더 이상 태어남(生)과 죽음에 의해 고통 받지 않으며, 거룩한 삶을 이미 완수하고, 이루어야 할 일을 다 이루었고, 더는 태어나지도 죽지도 않으며, 사물의 진실을 있는 그대로 알게 되는도다. "

Here "nirvana" is defined as:

1. To have realized in practice the teachings of no-self ("the holy life has been lived; what needs to be done has been done").

2. To arrive at right understanding ("the truth of things as they are is known").

3. To be able to put an end to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Such a person is no longer troubled by birth and death").

4. To have no fear ("he has no fear").

여기서 열반은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1. 수행 중에 무아의 가르침을 깨닫게 되는 것 ("거룩한 삶을 이미 살았고 이루어야 할 일을 다 이룸")

2. 정견을 성취함 ("사물의 진실을 있는 그대로 알게 됨")

3. 태어남과 죽음의 윤회에 종지부를 찍음 ("더는 태어나지도 죽지도 않음")

4. 두려움이 없음 ("그는 두려워 하지 않음")

After defining nirvana, the Buddha says a little more about its characteristics: "Such a bhiksu has filled in the moat, crossed the moat, destroyed the enemy citadel, unbolted the door, and is able to look directly into the mirror of highest understanding." Here nirvana is described as a struggle for liberation, a victory, and the complete satisfaction of the one who has arrived at full understanding.

열반을 정의하신 뒤에 부처님께서는 이의 특성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말씀하십니다.

"이와 같은 비구는 이미 해자를 메웠으며, 해자를 건넜으며, 적의 요새를 깨뜨렸으며, 성문의 빗장을 풀었고, 지극한 깨달음의 거울을 곧바로 들여다 볼 수 있게 된 것이니라." 여기서 열반이란 해탈을 향한 역정(struggle-歷程으로 번역했습니다), 거기서 이룬 승리, 그리고 온전한 깨달음을 이룬 자의 지극한 희열로 기술되고 있습니다.

Let us read on: "What is meant by 'filling in the moat'? 'Filling in the moat' means to know and clearly understand the substance of ignorance. Ignorance has been uprooted and shattered and cannot arise anymore. "What is meant by 'crossing the moat' means to know and clearly understand the substance of becoming and craving. Becoming and craving have been uprooted and shattered and cannot arise anymore.

읽기를 계속해 봅시다:  "'해자를 메운다.' 함은 무슨 말인가? '해자를 메운다.' 함은 무명의 본질을 알고 확연히 깨침을 말함이니, 무명이 그 뿌리가 뽑히고 산산히 부서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는도다. "'해자를 건넌다.' 함은 무슨 말인가? '해자를 건넌다.' 함은 존재의 생성과 갈애의 본질을 알고 확연히 깨침을 말함이니, 존재의 생성과 갈애가 그 뿌리가 뽑히고 산산이 부서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는도다."

"What is meant by 'destroying the enemy citadel'? 'Destroying the enemy citadel' means to know and clearly understand the substance of the cycle of birth.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has been uprooted and shattered and cannot arise anymore. "What is meant by 'unbolting the door'? 'Unbolting the door' means to know and clearly understand the substance of the five dull internal formations. The five dull internal formations have been uprooted and shattered and cannot arise anymore. "What is meant by 'Looking directly into the mirror of highest understanding'? 'Looking directly into the mirror of highest understanding' means to know and understand clearly the substance of pride. Pride has been uprooted and shattered and cannot arise anymore." Pride is produced by being caught in a view of self. 'Looking directly into the mirror of highest understanding" means liberation from being caught by a view of self.

"'적의 요새를 깨뜨린다.' 함은 무슨 말인가? '적의 요새를 깨뜨린다.'함은 생과 사의 순환의 본질을 알고 확연히 깨침을 말함이니, 생사의 순환(輪廻)이 뿌리채 뽑히고 산산이 부서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는도다. '성문의 빗장을 푼다.' 함은 무슨 말인가? '성문의 빗장을 푼다.' 함은 마음속에 생긴 다섯 가지 우둔함(번뇌)의 본질을 알고 이를 확연히 깨침을 말함이니, 이 마음속에 생긴 다섯 가지 우둔함이 뿌리채 뽑히고 산산이 부서져 다시는 일어나지 못하는도다. "'지극히 높은 깨달음의 거울을 들여다 본다.' 함은 무슨 말인가? '지극히 높은 깨달음의 거울을 들여다본다.' 함은 자만(自慢-慢心))의 본질을 알고 확연히 깨침을 말함이니, 자만이 뿌리 채 뽑히고 산산이 부서져 다시 일어나지 못하는도다." 만심(慢心)이란 자아라는 그릇된 견해에 빠져 있음으로 생겨납니다. '지극히 높은 깨달음의 거울을 들여다 본다.' 함은 이 자아라는 그릇된 견해로부터 자유로워짐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나왔던 경(經)의 내용이 대부분인 관계로 단어 해설은 생략했읍니다.

* 이것으로 이 책 읽기를 마칩니다. 실은 한 장(章)이 더 있으나 經의 전거 등에 대한 해설로서 불필요 하다고 보아 그냥 넘어 가기로 합니다.

THE END

마침

 

posted by 푸른글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