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wer of Mindfulness

 

An Inquiry into the Scope of Bare Attention and the Principal Sources of its Strength

주의깊음의 위력 / 단지 바라보기의 범위와 그 위력에 대한 고찰

by  Nyanaponika Thera

비구 냐나포니카

Directness of Vision

직관

I wish I could disaccustom myself from everything,

so that I might see anew, hear anew, feel anew,

Habit spoils our philosophy.

G.C. Lichtenberg (1742-1799) 

나는 모든 것으로부터 나자신의 습관을 버릴 수 있으면 좋겠다.

새롭게 보고, 새롭게 듣고, 새롭게 느끼기 위해,

습관은 우리의 철학을 망친다.

- G. C. 리텐베르그 (1742 - 1799)

 

In an earlier section we spoke about the impulsive spontaneity of the unwholesome. We have seen how stopping for bare and sustained attention is able to counter, or reduce, our rash impulsive reactions, thus allowing us to face any situation with a fresh mind, with a directness of vision unprejudiced by those first spontaneous responses.  

앞 부분에서 우리는 불건전한 것의 충동적 자동성을 이야기했습니다. 우리는 또 단지 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멈춤이 어떻게 하여 충동적 반응을 조절하고 감소시키며, 이리하여 그들 최초의 자동적 반응에 의해 물들지 않는 직관을 가지고 어떠한 상황에서든 우리가 신선한 마음을 가지게 하도록 하는 것도 이야기했습니다.

By directness of vision we understand a direct view of reality, without any coloring or distorting lenses, without the intrusion of emotional or habitual prejudices and intellectual biases. It means: coming face to face with the bare facts of actuality, seeing them as vividly and freshly as if we were seeing them for the first time.  

직관에 의해 우리는 색안경 또는 굴절된 랜즈를 끼지 않고, 감정적 또는 습관적 및 지적 편견없이, 사실의 직접적인 모습을 이해하게 됩니다. 그것은 벌거벗은 실제 사실에 직면하여, 우리가 그것들을 마치 처음 본 듯이 생생하고 신선하게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 Force of Habit

습관의 힘

 

Those spontaneous reactions which so often stand in the way of direct vision do not derive only from our passionate impulses. Very frequently they are the product of habit. In that form, they generally have an even stronger and more tenacious hold on us -- a hold which may work out either for our good or for our harm. The influence habit exercises for the good is seen in the "power of repeated practice." This power protects our achievements and skills -- whether manual or mental, worldly or spiritual -- against loss or forgetfulness, and converts them from casual, short-lived, imperfect acquisitions into the more secure possession of a quality thoroughly mastered.

직관에 그렇게 장애가 되는 그들 자동적 반응은 오직 열정적 충동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상당히 자주는 습관의 산물로 출현하는 것입니다. 습관으로부터 유래되는 자동적 반응은 보다 강력하고 보다 완고하게 우리를 움켜집니다. - 그 움켜짐이 우리에게 유익함 또는 해로움으로 작용합니다. 습관이 유익하게 작용하는 영향은 “반복된 수행의 위력”에서 보았습니다. 이 힘은 망각으로부터 - 육체적 혹은 정신적이든 간에, 또 세속적 또는 영적이든 간에 - 우리의 성취와 기술을 보호하며, 그것들을 변덕스럽고 단명하며, 불완전한 소유에서 완전히 지배된 안전한 질적 소유로 바꾸어 버립니다.

The detrimental effect of habitual spontaneous reactions is manifest in what is called in a derogative sense the "force of habit": its deadening, stultifying and narrowing influence productive of compulsive behavior of various kinds. In our present context we shall be concerned only with that negative aspect of habit as impeding and obscuring the directness of vision.  

습관적인 자동적 반응의 해로운 영향은 - 여러 가지 강박행위의 산물인 둔하게 하고, 무디게 하고, 좁게 하는 영향 - “습관의 힘”에서 명시하였습니다. 여기서는 직관에 장해가 되고 위험한 습관의 부정적인 측면에만 관심을 가져 봅시다.

As remarked earlier, habitual reactions generally have a stronger influence upon our behavior than impulsive ones. Our passionate impulses may disappear as suddenly as they have arisen. Though their consequences may be very grave and extend far into the future, their influence is in no way as long lasting and deep reaching as that of habit. Habit spreads its vast and closely meshed net over wide areas of our life and thought, trying to drag in more and more. Our passionate impulses, too, might be caught in that net and thus be transformed from passing outbursts into lasting traits of character. A momentary impulse, an occasional indulgence, a passing whim may by repetition become a habit we find difficult to uproot, a desire hard to control, and finally an automatic function we no longer question. Repeated gratification turns a desire into a habit, and habit left unchecked grows into compulsion.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습관적인 반응은 대개 충동적 반응보다 우리에게 훨씬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열정적 충동은 나타나자마자 사라질 수 있습니다. 비록 그들의 영향이 매우 심각하고, 먼 훗날에까지 미친다 하더라도, 습관의 영향보다 오래 지속되고 깊지는 않습니다. 습관은 광대하고, 촘촘한 그물망을 우리의 생활과 생각 주위에 널리 쳐 놓고 더더욱 우리를 끌어들입니다. 우리의 열정적 충동마저도 그 그물에 걸려 돌발적으로 분출했다가 지나가는 것으로부터 지속되는 성격의 특성으로 바꾸어 버립니다. 순간적 충동, 우발적 탐닉, 지나가는 변덕이 반복됨으로써 근절하기 어려운 습관이 되고, 통제하기 어려운 욕구가 되며, 마침내 더 이상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자동적 작용이 되어 버립니다. 반복된 만족은 욕구를 습관으로 바꾸며, 습관이 제어되지 못하고 방치되면 강박으로 자라납니다.

It sometimes happens that, at an early time, we regard a particular activity or mental attitude as without any special personal importance. The activity or attitude may be morally indifferent and inconsequential. At the start we might find it easy to abandon it or even to exchange it for its opposite, since neither our emotions nor reason bias us towards either alternative. But by repetition, we come to regard the chosen course of action or thought as "pleasant, desirable, and correct," even as "righteous"; and thus we finally identify it with our character or personality. Consequently, we feel any break in this routine to be unpleasant or wrong. Any outside interference with it we greatly resent, even regarding such interference as a threat to our "vital interests and principles." In fact at all times primitive minds, whether "civilized" or not, have looked at a stranger with his "strange customs" as an enemy, and have felt his mere unagressive presence as a challenge or threat.  

우리는 초기에는 특정 행위나 정신태도를 별로 중요하지 않는 것으로 여깁니다. 그 행위나 태도는 도덕적으로 무관심하거나 의미가 없을 것입니다. 초기에는 그것을 버리거나 반대되는 것으로 대체하는 것도 쉽습니다. 감정 또는 이성이 어느 쪽에든  치우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반복됨으로써, 선택된 행위나 생각을 “즐겁고 바람직하며 옳은 것” 나아가 “정당한 것”으로 여기게 되며, 나중에는 우리의 개성으로   인정하게 됩니다. 결과 이렇게 일상으로 된 것에 제동이 걸리면 불쾌하거나 잘못되었음을 느낍니다. 그것에 대한 어떠한 외부적 간섭에도 우리는 대단히 분개하며, 그러한 간섭을 우리의 “생활에 활력을 주는 흥미 및 원리”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합니다. 사실 미발달된 마음은 문명화되었건 말건 간에, 낯선 것을 그의 이상한 풍습 때문에 적으로 간주해 왔으며, 비공격적인 출현에 불과한 것을 도전이나 위협으로 느낍니다.

At the beginning, when no great importance was ascribed to the specific habit, the attachment that gradually formed was directed not so much to the action proper as to the pleasure we derive from the undisturbed routine. The strength of that attachment to routine derives partly from the force of physical and mental inertia, so powerful a motive in man. We shall presently refer to another cause for attachment to routine. By force of habit, the particular concern -- whether a material object, an activity, or a way of thinking -- comes to be invested with such an increase of emotional emphasis, that the attachment to quite unimportant or banal things may become as tenacious as that to our more fundamental needs. Thus the lack of conscious control can turn even the smallest habits into the uncontested masters of our lives. It bestows upon them the dangerous power to limit and rigidify our character and to narrow our freedom of movement -- environment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시작시점에서 특정 습관에 큰 의미를 두지 않을 때, 점차 형성되는 애착이 어지럽지 않은 일상으로부터 이끌어낸 즐거움으로서 적합한 행동으로는 그렇게 많이는 이끌지 않습니다. 일상에 대한 애착의 세기는 부분적으로 육체적. 정신적 굼뜬 힘으로부터 나와, 사람들에게 강력한 동기를 유발합니다. 이제 우리는 일상에 대한 애착의 다른 원인을 말해봅시다. 습관에 의해 특별한 관심 - 물질적 대상이건, 행위이건, 생각의 진행이든 간에 - 은 그러한 감정적 강조를 증가시키는 데에 투자되어, 나중에는 거의 중요하지도 않은 시시한 것들에 대한 애착이 우리의 보다 근본적 욕구만큼 집요하게 되어버립니다. 이와 같이 의식통제의 결핍은 가장 작은 습관조차도 우리 생활의 저항할 수 없는 지배자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성격을 단단히 움켜쥐고 제한하며, 환경적.지적.정신적 운동의 자유를 좁게 하는 위험한 힘을 그들에게 부여합니다.

Through our subservience to habit, we forge new fetters for ourselves and make ourselves vulnerable to new attachments, aversions, prejudices and predilections; that is, to new suffering. The danger for spiritual development posed by the dominating influence of habit is perhaps more serious today than ever before; for the expansion of habit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our present age when speci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reach into so many varied spheres of life and thought.  

습관에 대한 굽실거림을 통해 우리는 우리자신에 대한 새로운 족쇄를 만들어 내며, 새로운 애착.반감.편견.편애 즉 새로운 고통에 우리자신이 공격받기 쉽게 만들어 버립니다. 습관의 지배적 영향에 의해 정신발전이 처해진 위험은 아마도 그 어느 때보다 지금이 심각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습관의 팽창은 전문화와 표준화가 생활과 사고의 그렇게도 다양한 영역에 퍼져있는 때인 현 세대에 특히 주목할 만하기 때문입니다.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Satipatthana Sutta's words on the formation of fetters, we should also think of the important part played by habit:  "...and what fetter arises dependent on both (i.e. the sense organs and sense objects), that he knows well. In what manner the arising of the unarisen fetter comes to be, that he knows well."

따라서 사티파타아나에서 족쇄의 형성에 대한 말을 숙고해볼 때, 우리는 습관에 의해 전개되는 중요한 부분 역시 생각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양자(즉 감각기관 및 감각대상)에 의해 일어나는 구속을, 그는 잘 알고 있다. 아직 일어나지 않는 구속이 어떠한 방식으로 일어 나는지를, 그는 잘 안다 “

In Buddhist terms, it is preeminently the hindrance of sloth and torpor (thina-middha nivarana) which is strengthened by the force of habit, and it is the mental faculties such as agility and pliancy of mind (kaya and citta-lahuta, etc.)[8] that are weakened.  

불교용어로 습관의 힘에 의해 탁월하게 강화되는 것은 게을음의 장애인 반면, 약화되는 것은 마음의 민첩성과 유순함 등(kaya, citta-lahata) 정신적 재능입니다.

[8] About these important qualitative constituents of good, wholesome (kusala) consciousness, see the author's Abhidhamma Studies (Kandy, Sri Lanka: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965), pp. 51 f.

This tendency of habits to extend their range is anchored in the very nature of consciousness. It stems not only from the aforementioned passive force of inertia, but in many cases from an active will to dominate and conquer. Certain active types of consciousness, possessing a fair degree of intensity, tend to repeat themselves. Each one struggles to gain ascendancy, to become a centre around which other weaker mental and physical states revolve, adapting themselves to and serving that central disposition.

영역을 확장하는 습관의 이러한 경향은 바로 의식의 본성에 닿을 내립니다. 그것은 앞에서 이야기한 타성의 수동적 힘을 막을 뿐만 아니라, 많은 경우에는 지배하고 정복하는 능동적인 의지까지도 막습니다. 강력한 세기를 가지고 있는 어떤 종류의 적극적 의식은 그 자신을 되풀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각자는 권세를 얻기위해, 다른 약한 정신적.육체적 상태들이 회전하는 주위에서 중심이 되기위해, 가운데 자리를 차지한 것에 봉사하기도하고 또 자신이 중심이 되기도 하면서 싸웁니다.

This tendency is never quite undisputed, but still it prevails, and even peripheral or subordinate types of consciousness exhibit the same urge for ascendancy. This is a striking parallel to the self-assertion and domineering tendency of an egocentric individual in his contact with society. Among biological analogies, we may mention the tendency toward expansion shown by cancer and other pathological growths; the tendency toward repetition we meet in the freak mutations which loom as a grave danger at the horizon of our atomic age.  

이러한 경향은 논박의 여지도 없이 널리 퍼져있는데, 수평적.종속적 유형의 의식조차도 권세에 대해 똑같은 충동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자기중심적인 개인이 사회와 접촉할 때, 눈길을 끄는 자기주장의 위도(緯度)이며 지배적인 경향입니다. 생물학적으로 유사한 것들 가운데서는 암이나 다른 병리적 성장에서 보여지는 팽창 경향을 들 수 있습니다. 즉 우리들 원자력 시대의 지평에서, 심각한 위험으로 나타난 변덕스러운 변화 속에, 우리가 만나는 반복을 향한 성향입니다.

Due to that will to dominate inherent in many types of consciousness, a passing whim may grow into a relatively constant trait of character. If still not satisfied with its position, it may break away entirely from the present combination of life forces until finally, in the process of rebirths, it becomes the very centre of a new personality. There are within us countless seeds for new lives, for innumerable potential "beings," all of whom we should vow to liberate from the wheel of samsara, as the Sixth Zen Patriarch expressed it.[9]  

여러 유형의 의식에 고유한 지배하려는 의지 때문에 덧없는 변덕이 상대적으로 고정된 성격 특성으로 자라납니다. 아직은 그 지위에 만족하지 못하지만, 그것은 재탄생의 과정에서 조화되어 있는 현재의 생명력을 완전히 파괴하고, 결국에는 새로운 인격의 중심이 되어버립니다. 우리들 속에는, 헤아릴수없이 많은 새로운 생명의 씨앗들과 잠재적 존재들이 있습니다. 육조선사가 말한 것처럼 그들 모두를 윤회의 바퀴로부터 해방시키겠다고 맹세해야 합니다. 

[9] This may be a somewhat ironical reference by that great sage to the fact that the well-known Mayayanic Bodhisattva vow of liberating all beings of the universe is often taken much too light-heartedly by many of his fellow Mahayanists.

Detrimental physical or mental habits may grow strong, not only if fostered deliberately, but also if left unnoticed or unopposed. Much of what has now strong roots in our nature has grown from minute seeds planted in a long-forgotten past (see the Simile of the Creeper, Majjhima 45). This growth of morally bad or otherwise detrimental habits can be effectively checked by gradually developing another habit: that of attending to them mindfully.

해로운 육체적. 정신적 습관은 세심하게 양육될 때는 말할 것도 없고, 깨닫지 못한 채로 또는 반대하지 않고 내버려 둘 때에도 강하게 자라납니다. 지금 우리의 본성에 강한 뿌리를 가지고 있는 많은 것들이 아득한 과거에 심어진 아주 작은 씨앗으로부터 자라났습니다. 도덕적으로 나쁘거나 아니면 해로운 습관의 이러한 성장은 점차 자라나는 다른 습관, 즉 그들을 주의깊게 지켜보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야 합니다.

If we now do deliberately what had become a mechanical performance, and if prior to doing it we pause a while for bare attention and reflection -- this will give us a chance to scrutinize the habit and clearly comprehend its purpose and suitability (satthaka and sappaya-sampaja??a). It will allow us to make a fresh assessment of the situation, to see it directly, unobscured by the mental haze that surrounds a habitual activity with the false assurance: "It is right because it was done before."

만약 우리가 기계적 실행으로 되어버린 것을 세심하게 해보려 한다면, 그에 앞서 단지 바라보기와 묵상을 위해 잠깐 멈춘다면 - 이것은 습관을 엄밀히 조사하여 그것의 목적과 적합성을 확실히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그것은 “이것은 예전에 이루어졌으므로 옳다”는 잘못된 가정을 하는 습관적 활동에 둘러싸인 정신적 나태함에 의해 흐릿해지지 않은 채, 우리를 상황에 새롭게 접근하게 하고, 똑바로 보게 해줍니다.

Even if a detrimental habit cannot be broken quickly, the reflective pause will counter its unquestioned spontaneity of occurrence. It will stamp it with the seal of repeated scrutiny and resistance, so that on its recurrence it will be weaker and will prove more amenable to our attempts to change or abolish it. 

 비록 그릇된 습관이 빨리 파괴되지는 않지만, 사려깊은 쉼은 녀석들의 출현시 의심없는 자동성을 통제해 줍니다. 그것은 그릇된 습관을 반복된 조사와 저항으로 봉인해 버리므로, 녀석들이 다시 나타날 때는 보다 약해지고,  바꾸거나 없애버리려는 시도에 보다 고분고분해 지게 됩니다.

It need hardly be mentioned that habit, which has been rightly called "the wet-nurse of man," cannot and should not disappear from our life. Let us only remember what a relief it is, particularly in the crowded day and complex life of a city-dweller, to be able to do a great number of things fairly mechanically with, as it were, only "half-powered attention." Habit brings considerable simplification to our life. It would be an unbearable strain if all our little humdrum activities had to be done with deliberate effort and close attention.

마땅히 “인간의 유모”라고 까지는 거의 말해지지 않지만, 습관은 생활에서 없어질 수도 또 없앨 수도 없습니다. 특히나 도시거주자의 복잡한 생활과 혼잡한 나날에 있어서는, 전에도 그리했던 것처럼 대부분의 일을 오직 “반쪽만의 주의”로 거의 기계적으로 할 수 있게된 것이 얼마나 큰 구원인지에 대해서만 상기해 봅시다. 습관은 우리생활을 상당히 단순화시킵니다. 만약 모든 사소한 활동까지 세심한 노력과 자세한 주의를 가지고 처리해야 한다면, 그것은 견딜 수 없는 긴장이 될 것입니다.

In fact, many operations of manual labor, much of the technique in art, and even standard procedure in complex intellectual work, generally bring better and more even results through skilled routine performance. Yet that evenness of habitual performance will also reach its end point. Unless enlivened by the creation of new interest, it will show symptoms of fatigue and start to decline.  

사실 육체노동의 많은 동작, 예술에 있어서 많은 테크닉, 나아가 복잡한 지적 작업의 표준적 절차도 대개 숙련된 일상적 실행을 통해 더 좋고 더욱 한결같은 결과에 도달합니다. 그러나 습관적 실행의 그러한 한결같음은 한계에 도달하게 됩니다. 새로운 흥미창조에 의해 활기를 띄게 하지 않으면, 기아와 쇠퇴의 증후가 나타날 것입니다.

Of course it would be absurd to advocate that all our little habits be abolished, for many are innocuous and even useful. But we should regularly ask ourselves whether we still have control over them, whether we can give them up or alter them at will.

물론 우리의 사소한 습관까지 모조리 철폐하라는 주장은 불합리합니다. 많은 것들이 해가 없거나 유익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규칙적으로 자신에게 의문을 던져야 합니다. 아직까지도 습관을 통제하고 있느냐 혹은 아니냐, 의지로써 습관을 복종시키거나 변화시킬 수 있느냐 혹은 아니냐 하고. 

We can answer this question for ourselves in two ways: by attending to our habitual actions mindful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second, by actually giving them up temporarily in cases where this will not have any harmful or disturbing effects upon ourselves or others. If we turn on them the light of direct vision, looking at them or performing them as if for the first time, these little routine activities, and the habitual sights around us, will assume a new glow of interest and stimulation.

우리는 이 질문에 두 가지 방식으로 대답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어떤 기간동안 습관적 행동을 주의깊게 응시하는 것으로, 두 번째는 자신과 남에게 해롭거나 혼란스럽게 하는 영향이 있을 경우 일시적으로 습관을 실제로 굴복시키는 것으로.  만약 우리가 습관을 직관의 빛에 비추어, 마치 처음 대하는 것처름 조사하고 다룬다면, 사소한 일상적 행위나 우리 주위의 습관적 시각은 새로운 흥미와 자극으로 새로이 빛날 것입니다.

This also holds good for our professional occupation and its environment, and for our close human relationships if they should have become stale by habit. The relationship to one's marriage partner, to friends, to colleagues, may thus receive a great rejuvenation. A fresh and direct vision will also reveal that one can relate to people or do things in a different and more beneficial way than one did before by force of habit.  

사람들이 습관에 의해 진부하지 않게만 된다면, 직업생활이나 환경 및 밀접한 인간관계에도 유효합니다. 배우자.친구.동료들 간의 유대관계도 이렇게 하여 원기를 많이 회복할 것입니다. 신선하고 직접적인 시각은 예전에 습관의 힘으로 하는 것과는 달리 보다 유익한 방식으로 인관관계를 맺고, 일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An acquired capacity to give up minor habits will prove its worth in the fight against more dangerous proclivities. It will also come to our aid at times when we are faced with serious changes in our life which forcefully deprive us of fundamental habits. Loosening the hardened soil of our routine behavior and thoughts will have an enlivening effect on our vital energy, our mental vigor, and our power of imagination. But what is most important, into that loosened soil we shall be able to plant the seeds of vigorous spiritual progress.  

사소한 습관을 굴복시킬 수 있게된 능력은 보다 위험한 기질에 대항하여 싸우는데에 진가를 발휘합니다. 그것은 우리생활에서 근복적인 습관을 빼앗는 중요한 변화에 직면했을 때도 우리에게 도움이 됩니다. 일상적 습관과 생각의 단단한 토양을 느슨하게 하면 우리의 활력.정신력.창조력에 생기가 나게 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우리가 그 느슨해진 토양속에 활기찬 정신과정의 씨앗을 심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Associative Thought

연상

Mental Habituation to standard reactions, to sequences of activity, to judgements of people or things proceeds by way of associative thinking. From the objects, ideas, situations and people that we encounter, we select certain distinctive marks, and associate these marks with our own response to them. If these encounters recur, they are associated first with those marks selected earlier, and then with our original or strongest response. Thus these marks become a signal for releasing a standard reaction, which may consist of a long sequence of connected acts or thoughts familiar through repeated practice or experience. This way of functioning makes it unnecessary for us to apply new effort and painstaking scrutiny to each single step in such a sequence. The result is a great simplification of life, permitting us to release energy for other tasks. In fact, in the evolution of the human mind, associative thinking was a progressive step of decisive importance. It enabled us to learn from experience, and thus led up to the discovery and application of causal laws.  

표준적인 반응, 연속된 행위, 사람과 사물에 대한 판단 등에 대한 정신적 습관화는 연상(associative thinking)의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우리가 만나는 대상.이념.상황 및 사람들로부터 우리는 특정한 표식을 선택하고, 이들 표식을 그들에 대한 우리의 반응과 연관 지웁니다. 이것이 되풀이된다면, 처음에는 그들이 선택한 표식과 연관되지만, 다음에는 우리 본래의 또는 강력한 반응과 연관 지워 집니다. 이렇게 하여 이들 표식은 표준적인 반응을 풀어놓는 신호가 되는데, 그것은 반복실행.반복경험을 통해 낯이 익은 연계 행위 또는 생각의 긴 조합을 구성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용을 하면, 그러한 연속의 개개의 단계에 새로운 노력이나 수고로운 조사가 불필요해집니다. 결과로서 생활은 매우 단순해지고, 우리는 다른 일에 힘을 쏟을 수 있게됩니다. 사실 인간마음의 진화에서, 연상은 매우 중요한 진보입니다. 그것은 우리를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임시법의 발견과 적용으로 이끕니다.

Yet along with these benefits, associative thinking can also bring many grave dangers if it is applied faultily or thoughtlessly and not carefully controlled. Let us draw up a partial list of these danger points: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잘못 또는 무분별하게 적용되거나 조심스럽게 통제되지 못한다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합니다. 이들 위험한 점들의 부분적 목록을 그려 봅시다.

1. Associative thinking, recurring again and again in similar situations, may easily perpetuate and strengthen faulty or incomplete initial observations, errors of judgement, and emotional prejudices such as love, hate and pride.  

유사한 상황에서 연상이 자꾸만 되풀이 된다면, 잘못되거나  불완전한 최초의 관찰, 판단의 착오 및 사랑.미움.자만 등 감정적 편견을 지속시키고  강화시킴.

2. Incomplete observations and restricted viewpoints in judgement, sufficient to deal with one particular situation, may prove quite inadequate and entail grave consequences if mechanically applied to changed circumstances.  

하나의 특정 상황만 다루기에 족한 불완전한 관찰, 판단에 있어서 제한된 관점이 변하는 상황에 기계적으로 적용된다면, 매우 부적절하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함.

3. Due to misdirected associative thinking, a strong instinctive dislike may be felt for things, places or persons which in some way are merely reminiscent of unpleasant experiences, but actually have no connection with them. 

잘못 유도된 연상 때문에 다른 방식으로는 단지 유쾌하지 못한 경험의 회상이 될 사물 , 장소 , 사람에 대해 강력한 본능적 혐오를 느끼게 되나, 실제로는 그들과 아무런 연관이 없음.

These briefly-stated instances show how vital it is for us to scrutinize from time to time the mental grooves of our associative thoughts, and to review the various habits and stereotype reactions deriving from them. In other words, we must step out of our ruts, regain a direct vision of things, and make a fresh appraisal of our habits in the light of that vision.  

이들 간단한 실례들은 연상의 정신적 관례를 수시로 조사하는 것이 얼마나 우리에게 중요한지. 또 그들로부터 유래되는 여러 가지 습관과 상투적인 반응을 재고해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달리 말하면, 우리는 우리의 상례(常例)에 발을 맞추지 않아야 하며, 사물에 대한 직관을 다시 얻어야 하며, 직관의 빛 아래서 습관을 신선하게 평가해야만 합니다.

 If we look once again over the list of potential dangers deriving from uncontrolled associative thinking, we shall better understand the Buddha's insistence upon getting to the bedrock of experience. In the profound and terse stanzas called "The Cave," included in the Sutta Nipata, the Buddha says that the "full penetration of sense impression (phassa) will make one free from greed" and that "by understanding perception (sa??a), one will be able to cross the flood of samsara" (stanza 778 f.).[10]

만일 우리가 통제되지 않은 연상으로부터 비롯되는 잠재적 위험의 목록을 다시 한 번 조사한다면, 경험의 근본원리가 되는 붇다의 주장을 우리는 보다 잘 이해하게 됩니다. ꡐ숫타니파아타의 동굴ꡑ 이란 절에서 붇다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감각인상(phassa)의 완전한 통찰은 사람들을 탐욕으로부터 해방시킬 것이다”. “지각을 이해함으로써 윤회의 홍수를 건널 수 있다.”(절 778f.) 

[10] Compare also the passage on the significance of sense impression (or contact) in the concluding section of the Brahmajala Sutta (Digha 1).

By placing mindfulness as a guard at the very first gate through which thoughts enter the mind, we shall be able to control the incomers much more easily, and shut out unwanted intruders. Thus the purity of "luminous consciousness" can be maintained against "adventitious defilements" (Anguttara, 1:51).  

생각이 마음으로 들어가는 바로 첫 관문에 깨어있음을 보초로 세움으로써 방문자를 보다 쉽게 통제할 수 있고, 원치 않는 침입자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빛나는 의식”의 순수함은 “우발적인 오염”에 대항하여 지켜질 수 있습니다.

The Satipatthana Sutta provides a systematic training for inducing direct, fresh, and undistorted vision. The training covers the entire personality in its physical and mental aspects, and includes the whole world of experience. The methodical application of the several exercises to oneself (ajjhatta), to others (bahiddha), and alternatingly to both, will help uncover erroneous conceptions due to misdirected associative thinking and misapplied analogies. 

염처경은 직접적인, 신선한, 왜곡되지 않는 시각을 유발하는 체계적 훈련을 제공합니다. 그 훈련은 육체적, 정신적 양상에 있어서 전체의 개성을 포괄하며, 세상의 모든 경험을 포함합니다.  자신과 남. 혹은 둘 다에게 몇 가지 훈련은 체계적으로 적용하면, 잘못 유도된 연상과 잘못 적용된 유추에 기인하는 틀린 개념을 벗기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The principal types of false associative thinking are covered, in the terminology of the Dhamma, by the four kinds of misapprehension or perverted views (vipallasa), which wrongly take (1) what is impermanent for permanent, (2) what is painful, or conducive to pain, for happiness, (3) what has no self and is unsubstantial for a self or an abiding substance, and (4) what is impure for beautiful. These perverted views arise through a false apprehension of the characteristic marks of things. Under the influence of our passions and false theories, we perceive things selectively in a one-sided or erroneous way, and then associate them wrongly with other ideas. By applying bare attention to our perceptions and impressions, gradually we can free them from these misapprehensions, progressing steadily towards the direct vision of things as they really are. 

잘못된 연상의 기본 유형은 법(dhamma)의 용어로는, 4가지종류의 오해 또는 왜곡된 견해(vipallasa)인데, 그것은 (1) 일시적인 것은 영속적인 것으로 (2) 고통 또는 고통으로 이끄는 것을 행복으로 (3) 자기 및 실체가 없는 것을 자기 또는 지속하는 실체로 (4) 불순한 것을 아름다운 것으로 잘못 받아들입니다. 이들 왜곡된 견해는 사물의 특징적 표식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통해 일어납니다. 우리들의 열정과 잘못된 이론의 영향아래. 우리는 사물을 편파적 또는 잘못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지각하고, 그것을 다른 착상과 잘못되게 연관 지웁니다. 우리의 지각과 인상에 단지 바라보기를 적용함으로써, 그들을 오해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으며, 있는 그대로의 사물을 직관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The Sense of Urgency

절박감

One who has clear and direct vision, stirred to a sense of urgency (samvega) by things which are deeply moving, will experience a release of energy and courage enabling him to break through his timid hesitations and his rigid routine of life and thought. If that sense of urgency is kept alive, it will bestow the earnestness and persistence required for the work of liberation. 

깊이 감동시키는 일에 의해 절박감이 자극되고, 분명한 직관을 가진 사람은, 그의 바보 같은 머뭇거림과 생활과 생각의 딱딱한 일상을 돌파할 수 있는 용기와 힘이 방출되는 것을 경험할 것입니다. 생생한 절박감은 해방의 작업에 요구되는 진지함과 끈기를 줄 것입니다.

Thus said the teachers of old: 

"This very world here is our field of action.

It harbors the unfoldment of the holy path,

And many things to break complacency,

Be stirred by things which may well move the heart,

And being stirred, strive wisely and fight on!"

옛스승은 이와같이 말했습니다.

"여기 이 세상은 우리의 행위의 마당이다

그것은 성스러운 길의 전개에 정박한다.

만족을 깨뜨리는 많은 것들이 마음을 움직이는 일들에 의해 휘젓기게 된다.

휘젓기게 되면, 현명하게 분투하고 싸움을 계속하라! "

Our closest surroundings are full of stirring things. If we generally do not perceive them as such, that is because habit has made our vision dull and our heart insensitive. The same thing happens to us even with the Buddha's teaching. When we first encounter the teaching, we receive a powerful intellectual and emotional stimulation; but gradually the impetus tends to lose its original freshness and impelling force. The remedy is to constantly renew it by turning to the fullness of life around us, which illustrates the Four Noble Truths in ever new variations. A direct vision will impart new lifeblood even to the most common experiences of every day, so that their true nature appears through the dim haze of habit and speaks to us with a fresh voice. It may well be just the long accustomed sight of the beggar at the street corner, or a weeping child, or the illness of a friend, which startles us afresh, makes us think, and stirs our sense of urgency in treading resolutely the path that leads to the cessation of suffering.  

우리에게 가장 가까운 주변은 자극하는 것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그렇게 자각하지 못하는데, 이는 습관이 우리의 시각을 무디게 하고 우리의 마음을 무감각하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붇다의 가르침에 있어서 조차 그런 일이 일어납니다. 우리가 처음으로 가르침에 접하면, 강렬한 지적, 감정적 자극을 받습니다. 그러나 점차 그 힘은 처음의 신선함과 추진력을 잃게 됩니다. 치료 방법은 우리 주의의 충만한 생명에로 돌아서서 지속적으로 그것을 새롭게 하는 것인데, 그것은 새로운 변화에서 4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밝혀줍니다. 직관은 일상의 가장 평평한 경험에조차 활력을 나누어주어 습관의 흐릿한 아지랑이로부터 그들의 진정한 본성을 드러내어 신선한 목소리로 우리에게 이야기합니다. 그것은 길모퉁이에 있는 오랫동안 낯익은 거지. 또는 눈물을 흘리는 아이. 또는 친구의 병환과도 같아, 우리를 새롭게 자극하며, 생각하게 하고, 고통의 중단으로 이끄는 길을 단호하게 걸으려는 절박감을 고무시킵니다.

We know the beautiful account of how Prince Siddhatta first came face to face with old age, illness and death while driving his chariot through the royal city after a long period of isolation in a make-believe world. This ancient story may well be historical fact, for we know that in the lives of many great men common events often gain a symbolic significance and lead to major consequences far beyond their ordinary appearance. Great minds find significance in the seemingly commonplace and invest the fleeting moment with far-reaching efficacy.

우리는 싣달타 태자가 거짓세계에 오랫동안 고립되어 있다가 수도에서 마차를 몰던중, 노인과 병자, 죽은 이를 처음 대면하게 되는 아름다운 이야기를 알고 있습니다. 이 옛날 이야기는 당연히 역사적 사실이며, 우리는 거기서 많은 위인들의 생애에 있어 평범한 사건이 상징적 의미를 얻게 하고, 평범한 일상적 모습을 멀리 뛰어넘어 중요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대한 마음은 외견상 평범한 곳에서 중요성을 찾아내고 덧없는 순간을 멀리 도달하는 효험에 투자합니다.

But, without contesting the inner truth of that old story, we may reasonably believe that the young prince had actually seen before, with his fleshly eyes, old people, sick people, and those who had succumbed to death. However, on all these earlier occasions, he would not have been touched very deeply by these sights -- as is the case with most of us most of the time. That earlier lack of sensitivity may have been due to the carefully protected, artificial seclusion of his petty, though princely, happiness, the hereditary routine of his life into which his father had placed him. Only when he broke through the golden cage of easy-going habits could the facts of suffering strike him as forcibly as if he had seen them for the first time. Then only was he stirred by them to a sense of urgency that led him out of the home life and set his feet firmly on the road to enlightenment. 

그러나, 그 옛날 이야기의 내적 진리를 따져보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린 왕자가 신선한 눈으로 실제로 노인, 병자, 죽은 이를 보았다고 당연히 믿게 됩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경우에서 예전에는 그가, 대부분의 우리에게 대부분의 시간이 그러한 것처럼, 이 광경에 의해 그렇게 깊이 접촉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예전의 감성의 결여는 조심스럽게 보호된 관대하지만 작은 행복에의 격리와 부친이 그에게 펼쳐놓은 세습된 일상 생활에 기인합니다. 오직 안락한 습관의 황금 우리를 깨뜨렸을 때만 고통을 받는다는 사실이 마치 그것들을 처음 본 것처럼 강력하게 그를 때렸을 것입니다. 그리하여 그것들에 의해 자극되어 가정생활을 버리게 한 절박한 심정이 되었을 때에, 깨달음의 길에 확고히 서게 되었습니다.

The more clearly and deeply our minds and hearts respond to the truth of suffering manifest in the very common facts of our existence, the less often shall we need a repetition of the lesson and the shorter will be our migration through samsara. The clarity of perception evoking our response will come from an undeflected directness of vision, bestowed by bare attention (sati); and the depth of experience will come from wise reflection or clear comprehension (sampaja??a).

우리가 경험하는 평범한 사실에서, 고통의 진리에 대해 마음과 가슴이 보다 명확하게 보다 깊게 반응할수록, 학습의 반복이 덜 필요해지고, 윤회 속을 떠도는 것이 짧아질 것입니다. 우리의 반응을 야기하는 지각의 명료성은 단지 바라보기에 의해 주어진 굴절되지 않은 직관으로부터 나오며, 경험의 깊이는 현명한 묵상 또는 명확한 이해로부터 나옵니다.

 

The Road to Insight

통찰에의 길

 

Directness of vision is also a chief characteristic of the methodical practice of insight meditation. There it is identified with the direct or experiential knowledge bestowed by meditation, as distinguished from the inferential knowledge obtained by study and reflection. In the meditative development of insight, one's own physical and mental processes are directly viewed, without the interference of abstract concepts or the filtering screens of emotional evaluation.

직관은 또한 통찰명상의 체계적 수행의 중요한 특성입니다. 거기서 그것은 학습과 회상에 의해 얻어진 추론상의 지식과 구별되는, 명상에 의해 주어지는 직관적.체험적 지식으로 확인됩니다. 통찰의 명상적 개발 중, 자신의 육체적, 정신적 진행과정이 추상적 개념의 추론 또는 감정적 평가의 여과 없이 바로 보이게 됩니다.

For in this context these only obscure or camouflage the naked facts, detracting from the strong immediate impact of reality. Conceptual generalizations from experience are very useful in their place; but if they interrupt the meditative practice of bare attention, they tend to "shove aside" or dispose of the particular fact, by saying, as it were: "It is nothing else but this." Generalizing thought inclines to become impatient with a recurrent type, and after having it classified, soon finds it boring. 

그것은 이들(추상적 개념의 추론 또는 감정적 평가)은 사실의 강력하고 즉각적인 영향으로부터 주의를 딴 데로 돌리어, 벌거벗은 사실을 흐릿하게 하고 위장시켜 버리기 때문입니다.  경험으로부터의 개념적 일반화는 정도가 알맞으면 매우 유익합니다. 그러나 그들이 단지 바라보기의 명상 수행을 방해한다면, 전에도 그러했듯이 “그것은 단지 이것이다”라고 말하면서 특정사실을 밀어 제치거나 지워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반화된 생각은 재출현하는 유형에 잘 견디지 못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을 일단 분류하고 나면 곧 그것이 지겨워집니다.

Bare attention, however, being the key instrument of methodological insight, keeps to the particular. It follows keenly the rise and fall of successive physical and mental processes. Though all phenomena of a given series may be true to type (e.g., inhalations and exhalations), bare attention regards each of them as distinct, and conscientiously registers its separate birth and death. If mindfulness remains alert, these repetitions of type will, by their multiplication, exert not a reduced but an intensified impact on the mind. The three characteristics -- impermanence, suffering, and voidness of self-inherent in the process observed, will stand out more and more clearly. They will appear in the light shed by the phenomena themselves, not in a borrowed light, not even a light borrowed from the Buddha, the peerless and indispensable guide to these experiences. 

그러나 명상통찰의 가장 중요한 도구인 '단지 바라보기'는 특별함을 지속시킵니다. 그것은 연속적인 육체적 정신적 과정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예리하게 따라갑니다. 주어진 연속물의 모든 현상들을 정형화(예 : 흡입과 발산)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단지 바라보기는 그들 각각을 구별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들의 출생과 죽음을 분리하여 의식적으로 명기합니다. 만약 깨어있음이 기민하게 남아있다면, 이들 유형의 반복은, 그들의 증식과정에 의해, 마음에 감소가 아닌 강화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관찰된 진행과정에서의 세 가지 특성 - 비영속성, 고통, 스스로 본래 타고남이 없음 - 은 더 더욱 명료하게 드러날 것입니다. 그들은 빌려온 빛이 아닌, 붇다로부터 빌려온 것조차도 아닌, 현상 스스로의 빛 속에서 이들 경험에 대한 비할 데 없는 필수 안내자로 드러납니다. 

These physical and mental phenomena, in their "self-luminosity," will then convey a growing sense of urgency to the meditator: revulsion, dissatisfaction, awareness of danger, followed by detachment -- though certainly joy, happiness, and calm, too, will not be absent throughout the practice. Then, if all other conditions of inner maturity are fulfilled, the first direct vision of final liberation will dawn with the stream-winner's (sotapanna) indubitable knowledge: "Whatever has the nature of arising, has the nature of vanishing." 

이들 육체적, 정신적 현상은 스스로의 발광 속에서 명상자에게 자라나는 절박감은 전달합니다. - 수행을 통해 기쁨, 즐거움, 고요함이 없어지지는 않지만, 혐오감, 불만족, 위험의 인식이 초연함에 뒤따릅니다. 그리하여, 다른 모든 내적 성숙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궁극적인 해방에 대한 최초의 직관이 밝아오기 시작합니다. 급류를 이긴 자의 의심할 나위없는 지식, 즉 "발생하는 성질을 가진 모든 것은 사라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와 함께.

Thus, in the unfoldment of the power of mindfulness, Satipatthana will prove itself as the true embodiment of the Dhamma, of which it was said: 

이와같이 깨어있음의 위력을 펼치는 가운데, 사티파타사나는 법의 진정한 구현으로 자신을 드러냅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해집니다.

"Well-proclaimed is the Dhamma by the Blessed One, visible here and now, not delayed, inviting inspection, onward-leading, to be directly experienced by the wise."

"진리(법)는 축복받은 자에 의해 잘 선포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지금 여기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진리에 대해 조사하거나 참고서적을 뒤적거리는 일로 늦추지 말라, 진리는 지혜에 의해 직접 경험될 수 있다."

 

THE END

마침

'불교사상 > 마음챙김의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챙김의 힘 4  (0) 2020.07.12
마음챙김의 힘 3  (0) 2020.07.12
마음챙김의 힘 2  (0) 2020.07.12
마음챙김의 힘 1  (0) 2020.07.12
보왕삼매론  (0) 2020.07.09
posted by 푸른글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