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구경 2008. 10. 1. 11:03



The Man Who Is Awake
깨어있는 이

평역 :푸른글

4341.9.30


He is awake.
The victory is his.
He has conquered the world.
그는 깨어있네.
승리가 그의 것이네.
그는 세상을 정복했네.

How can he lose the way
Who is beyond the way?
His eye is open
His foot is free.
그가 어찌 길을 잃을 수 있으며,
누가 그 길 위에 있을 수 있으리?
그의 눈은 열려있고
그의 발은 자유로운데.

Who can follow after him?
The world cannot reclaim him
Or lead him astray,
Nor can the poisoned net of desire hold him.
누가 그를 따를 수 있으리?
세상은 이제 그에게 마음을 바꿔
다시 세속으로 돌아오라고 할 수도 없고
길을 잃고 타락하도록 이끌 수도 없으며
독으로 물든 욕망의 덫에 가둘 수도 없는데.

He is awake!
The gods watch over him.
그는 깨어있네.
신(神)들께서 그를 굽어살피시네.

He is awake
And finds joy in the stillness of meditation
And in the sweetness of surrender.
그는 깨어있네.
그리고 고요한 적멸(寂滅)의 경지와
순응(順應)의 감미로운 속에서 기쁨을 발견하네.

Hard it is to be born,
Hard it is to live,
Harder still to hear of the way,
And hard to rise, follow, and awake.
태어나 존재하는 것도 힘들고
사는 것도 힘들지만
그 보다 더 힘든 것은
도(道)에 가만히 귀를 기울이는 것
일어나 도(道)을 따르고 잠에서 깨어나는 것.

Yet the reaching is simple.
Do what is right.
그렇지만 도(道)에 이르는 길은 여전히 단순하다네.
무엇이든 옳은 일을 하라.

Be pure.
At the end of the way is freedom.
순수하라.
자유는 그 길의 끝에 있으니.

Till then, patience.
If you wound or grieve another,
You have not learned detachment.
그 순간이 올 때까지 인내하라.
만일 그대가 참지 못하고 남을 슬프게 하거나 상처를 입힌다면
그대는 초연함(解脫)을 배워 익히지 못하리니.

Offend in neither word nor deed.
말로서도 행동으로서도 그 어떠한 죄도 범하지 말라.

Eat with moderation.
절제하여 알맞게 먹어라.

Live in your heart.
가슴으로 살아라.

Seek the highest consciousness.
의식의 절정을 추구하라.

Master yourself according to the dharma.
바른 법에 의지하여 자기 자신을 다루어라.

This is the simple teaching of the awakened.
이것이 깨달은 이들의 간결한 가르침이니라.

The rain could turn to gold
And still your thirst would not be slaked.
Desire is unquenchable
Or it ends in tears, even in heaven.
He who wishes to awake
Consumes his desires
Joyfully.
비가 황금으로 변해 쏟아져 내린다해도
여전히 물질에 대한 그대의 목마름은 가시지 않으리니
비록 하늘나라에 있더라도
욕망을 억누르지 못한다면,
그 결과는 눈물의 바다에 이를 뿐이네.
그러니 눈을 뜨기를 원하는 자
즐겁게 자신의 욕망들을 모두 버려야 하리.

In his fear a man may shelter
In mountains or in forests,
In groves of sacred trees or in shrines.
But how can he hide there from his sorrow?
산 속에, 숲 속에 숨는다 해도
신성한 나무들 사이에, 절이나 교회에 숨는다 해도
자신의 두려움으로부터는 숨을 수 없네,
하물며 자신의 슬픔을 어찌 그런 곳에 숨길 수 있으리?

He who shelters in the way
And travels with those who follow it
Comes to see the four great truths.
Concerning sorrow,
The beginning of sorrow,
The eight-fold way
And the end of sorrow.
바른 법 속에 머무르는 이
바른 법을 따르는 이들과 함께 동행하면
네 가지 거룩한 진리[四聖諦]를 보게 되리니,
그것은 삶 그 자체가 슬픔이라는 것[苦]과
슬픔의 출발점은 집착하는 욕망이라는 것[執]과
여덟 가지 바른 길[八正道]을 걸으면[滅]
슬픔이 끝난다는 것이네.[道]

Then at last he is safe.
He has shaken off sorrow.
He is free.
그러면 마침내 그는 안전하네.
그는 슬픔을 떨쳐버렸네.
그는 자유롭네.

The awakened are few and hard to find.
Happy is the house where a man awakes.
Blessed is his birth.
Blessed is the teaching of the way.
Blessed is the understanding among those who follow it,
And blessed is their determination.
And blessed are those who revere
The man who awakes and follows the way.
깨달은 이 드물고 찾기 어려워라.
깨달은 이가 있는 집은 행복하여라.
그의 탄생에 축복 있기를.
바른 법[道]의 가르침에 축복 있기를
바른 법을 따르는 이들 속에 섞여있는 깨우침에 축복 있기를
그들의 굳은 결의에 축복 있기를
그리고 그런 이들을 공경하는 이들과
깨달은 이들과 그 길을 따라 걷는 이에게도 축복이 깃들기를.

They are free from fear.
They are free.
They have crossed over the river of sorrow.
그들은 두려움으로부터 해방되었네.
그들은 자유롭네.
그들은 슬픔의 강을 건넜기에.

□ 사성제(四聖諦)
불교 용어. 사제(四諦)라고도 한다. 제(諦, satya)란 진리 또는 진실을 의미한다.

인생에서의 가장 근본적인 진리·진실을 4종류로 나누어 사제라 하였다.

즉 ① 고제(苦諦)는

인생 현실이 자기를 포함하여 자기 생각대로 되지 않으며 괴로움이라는 진실

② 집제(集諦)는 그 괴로움이 모두 자기 번뇌나 망상 등 넓은 뜻의 욕망에서 생긴다는 진실

③ 멸제(滅諦)는 이들 욕망을 끊고 멸하며

거기서부터 해탈해서 일반의 고요함에 이르러 깨달음이 열린다는 진실

④ 도제(道諦)는 이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실천을 나타내는 진실인데,

언제나 팔정도지(八正道支)인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정어(正語)·정업(正業)·

정명(正命)·정정진(正精進)·정념(正念)·정정(正定)에 의한다.

□ 팔정도(八正道)
불교에서 실천 수행의 중요한 종목을 8가지로 나눈 것.

팔지성도(八支聖道)·팔직도(八直道)·팔품도(八品道)라고도 한다.

사성제(四聖諦) 가운데의 하나인 도제(道諦)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설명된다.

원시불교의 경전인 아함경(阿含經)의 법으로

석가모니의 근본교설에 해당하는 중요한 교리이며,

욕락(欲樂)과 고행 등의 극단을 떠난 중도(中道)이며

옳은 깨우침으로 인도하기 위한 합리적이고 올바른 방법으로 되어 있다.
① 정견(正見): 바른 견해로, 사성제와 십이인연(十二因緣)을 바르게 이해하여

불교의 바른 세계관·인생관을 정립하는 것이다.
② 정사유(正思惟): 행동을 하기 전에 올바른 생각을 갖는 것이다.
③ 정어(正語): 망어(妄語)·악구(惡口)·양설(兩說)·기어(綺語)를 하지 않고

남에게 유익한 바른 말을 하는 것으로, 이것은 정사유 후에 생기는 바른 언어적 행위이다.
④ 정업(正業): 살생·투도(偸盜)·사음(邪淫) 등의 부정한 행위를 하지 않고

올바른 행위를 하는 것으로, 정사유 후에 생기는 바른 신체적 행위이다.
⑤ 정명(正命): 바른 직업과 규칙적인 생활에 의한 바른 생활이다.
⑥ 정정진(正精進): 용기를 가지고 바르게 노력하는 것으로,

이런 노력은 선을 증대시키고 악을 제거하게 해준다.
⑦ 정념(正念): 언제나 바른 의식을 가지고 이상과 목적을 잊지 않는 일이다.
⑧ 정정(正定): 명경지수(明鏡止水)와 같은 마음과 무념무상의 마음상태를 갖는 것으로

선정(禪定)에 의한 정신통일을 말한다.
이 8가지는 별개가 아니며,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해설출처 : 야후 백과사전


영어원문출처

http://www.thebigview.com/buddhism/dhammapada.html

@COPYLEFT
푸른글이 평역한글은
상업용 출판이나 홍보용 광고목적을 제외하고는
그 어떠한 형태로든 가져가신 분의 마음대로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법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쾌락 (Pleasure)  (0) 2008.10.01
기쁨 (Joy)  (6) 2008.10.01
이 세상 (The World)  (0) 2008.10.01
그대 자신 (Yourself)  (2) 2008.09.30
늙음 (Old Age)  (2) 2008.09.30
posted by 푸른글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