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타바크라 기타 2011. 7. 11. 10:38


The Heart of Awareness

각성의 본질

- a translation of The AshtavakraGita

아시타바크라 기타

by Thomas Byrom

토마스 바이롬

평역 : 푸른글

4343. 11. 20

9. Dispassion

무심(無心)

Seeing to this,

Neglecting that,

Setting one thing against another. . .

이것에 끌리고,

저것을 물리치나,

이것을 저것으로 대체하여 차려놓은 것일 뿐.


Who is free of such cares?

When will they ever end?

누가 이런 걱정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리?

어느 때나 이런 방황을 끝낼 수가 있으리?


Consider.

깊이 명상하여.


Without passion,

With dispassion,

Let go.

욕정 없이,

무심히,

놓아버려라.


Ashtavakra said:

Knowing when the dualism of things done and undone has been put to rest, or the person for whom they occur has, then you can here and now go beyond renunciation and obligations by indifference to such things. 9.1


My child,

Rare is he, and blessed,

Who observes the ways of men

And gives up the desire

For pleasure and knowledge,

For life itself.

아들아,

쾌락과 지식

그리고 삶 그 자체에 대한

욕망을 포기하고

인간의 길들을 주시하는,

은총 입은, 그런 이는 드무니라.


Rare indeed, my son, is the lucky man whose observation of the world's behaviour has led to the extinction of his thirst for living, thirst for pleasure, and thirst for knowledge. 9.2


Nothing lasts.

Nothing is real.

그 무엇도 영구히 존속하지 못하고

그 무엇도 실재하는 것이 아니니라.


It is all suffering,

Threefold affliction!

It is all beneath contempt.

세상사란 모두가 고통

그것도 세 겹의 고통인 것을!

이 모두는 경멸할 가치조차도 없는 것.

Know this.

Give it up.

Be still.

이것을 알고

세상사에 집착하는 짓을 그만두고

고요하라.


All this is transient and spoiled by the three sorts of pain. Knowing it to be insubstantial, ignoble, and fit only for rejection, one attains peace. 9.3

역자주 : 삼고(三苦)란 고고(苦苦) · 괴고(壞苦) · 행고(行苦)를 말한다. 고고(苦苦)란 몸은 고(苦)의 연(緣)에서 생겨 온갖 고통을 받는다는 것이고, 괴고(壞苦)란 자기 뜻에 애착을 느끼던 것이 괴멸하는 때에 받는 고통이며, 행고(行苦)란 세간 모든 현상의 변화가 끝이 없는 것이다.


When will men ever stop

Setting one thing against another?

인간이 양극단을 오가는 짓을

멈춘 적이 한번이라도 있었던가?


Let go of all contraries.

Whatever comes, be happy

And so fulfill yourself.

모든 극단들을 버려라.

무엇이 닥쳐오든, 행복하게 여겨라.

그런 식으로 자신의 수행을 성취하라.


When was that age or time of life when the dualism of extremes did not exist for men? Abandoning them, a person who is happy to take whatever comes attains perfection. 9.4


Masters, saints, seekers:

They all say different things.

위대한 스승들과 성인들 그리고 구도자들,

모두 다르게들 말한다 하지만

Whoever knows this,

With dispassion becomes quiet.

누구든 이것을 알면

무심해져 고요해지네.


Who does not end up with indifference to such things and attain peace when he has seen the differences of opinions among the great sages, saints, and yogis? 9.5


The true master considers well.

With dispassion

He sees all things are the same.

진정한 스승은 사려 깊기에

무심으로

모든 사물들이다 같음을 보네.


He com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ings,

The essence of awareness.

그는 사물의 본성을 알아차려,

각성의 본질을 이해하네.


He will not be born again.

그는 다시는 윤회에 빠지지 않으리.


Is he not a guru who, endowed with dispassion and equanimity, achieves full knowledge of the nature of consciousness, and leads others out of samsara? 9.6


In the shifting elements

See only their pure form.

부단히 모습을 바꾸는 원소들 속에서

오직 그것들의 순수한 형상만을 보라.

Rest in your own nature.

Set yourself free.

참다운 그대 자신의 본성 안에서 휴식하라.

그대자신을 해방하라.


If you would just see the transformations of the elements as nothing more than the elements, then you would immediately be freed from all bonds and established in your own nature. 9.7

만일 그대가 원소들을 있는 그 모습 그대로, 부단히 모습을 바꾸는 원소들로서 볼 수 있다면(고유한 형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연법에 따라 모습을 바꾸어 출몰하는), 그 즉시 모든 속박에서 벗어나 그대 자성에 확고히 자리하게 되리라.


The world is just a set of false impressions.

Give them up.

세상이란 단지 한 벌의 꾸며낸 상상화(印像)에 불과한 것이니.

그 모든 허상들을 버려라.


Give up the illusion.

Give up the world.

환상을 포기하라.

세상에 대한 집착을 끝내라.


And live freely.

그리고 자유롭게 살아가라.


One's desires are samsara. Knowing this, abandon them. The renunciation of them is the renunciation of it. Now you can remain as you are. 9.8

갈망이 윤회다. 이것을 알고 갈망들을 버려라. 갈망에 대한 포기가 금욕이다. 그러면 본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남아있게 될 것이다.

역자주 : 이 장은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 열반적정을 말하고 있다.위파사나(vipassana)는 위(vi)와 파사나(passana) 두 단어가 결합된 말이다. 위는 마음과 몸의 세 가지 특성인 삼법인()을 뜻한다. 삼법인은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를 말하는 것으로 세상에는 영원한 것이 없고 괴로운 일만 있으며 이를 느끼고 아는 몸과 마음또한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사나(passana)는 깨달음을 뜻하는 말로 위파사나는 삼법인에 대한 깨달음을 의미한다. 위파사나 수행은 삼법인을 꿰뚫는 지혜를 통해 '고통의 소멸'에 이르게 하는 수행법이다.(위 글 중에서 위파사나에 대한설명은 마하시 명상센터에서 가져온 것이다.)

영어원문출처

http://bhagavan-ramana.org/ashtavakragita2.html

http://itisnotreal.com/gpage1.html

http://bhagavan-ramana.org/ashtavakragita.html

'아시타바크라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성의 본질 / 고요함  (0) 2011.07.11
각성의 본질 / 갈망  (0) 2011.07.11
각성의 본질 / 무한한 대양  (0) 2011.07.11
각성의 본질 / 마음  (0) 2011.07.11
각성의 본질 / 이해  (0) 2011.07.11
posted by 푸른글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