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論

Verses from the Centre

(The Philosophy of the Middle Way)
중도(中道)의 원리

Sanskrit: Mula madhyamaka karika.
Tibetan: dBu ma rtsa ba’i tshig le’ur byas pa shes rab ces bya ba.
by Nagarjuna
龍樹菩薩 造 梵志靑目 釋

Romanization and Literal English Translation
of the Tibetan Text
by
Stephen Batchelor
Sharpham College
April 2000

22. Investigation of the Tathagata (Buddhanature)
觀如來品
여래에 대한 고찰

[For Ts. 370, this and the following chapter on error both serve to

"demonstate that the flow of becoming is empty of inherent existence.”]

1. Not the aggregates, not other than the aggregates;

the aggregates are not in him; he is not in them:

the Tathagata does not possess the aggregates. What is the Tathagata?

非陰不離陰  此彼不相在
如來不有陰  何處有如來

여래는 五蘊[心身] 그 자체가 아니며, 五蘊과 다르지도 않다.
여래 속에 五蘊이 있는 것도 아니고, 五蘊 속에 여래가 있는 것도 아니며,
如來가 五蘊을 지니고 있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여래는 어디에 존재한다는 말인가.

[Here and below the sanskrit for brten pa is upadaya (upadana).

Only from v. 5 does the Tibetan start using forms of nyer len]


2. If the buddha depends on the aggregates, he does not exist from an own-nature.

How can that which does not exist from an own-nature exist from an other-nature?

陰合有如來  則無有自性
若無有自性  云何因他有

만일 부처가 五蘊에 의지하여 존재한다면,
여래는 자성(svabhava)이 없는 존재일 것이다.
자성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어떻게 他性(parabhava)으로 존재할 수 있겠는가? (MKV 22.2)

3. It is not tenable for something dependent on other-nature to be self-existent.

How can that which has no self-existence be tathagata?

法若因他生  是卽爲非我
若法非我者  云何是如來

만일 '他性에 의존하여(緣) 지속되는 것을 我가 아닌 것이라 한다면,
어떻게 자성을 가지지 못한 것이 여래가 될 수 있겠는가?

4. If self-nature does not exist, how can there be the existence of other-nature?

What is a Tathagata apart from own-nature and other-nature?

若無有自性  云何有他性
離自性他性  何名爲如來

자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거기에 어찌 타성인들 존재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자성과 타성을 떠난 무엇이 여래란 말인가?

5. If there exists a tathagata [who is] not depending on the aggregates,

he exists in depending [on them] now and will henceforth depend.

若不因五陰  先有如來者
以今受陰故  則說爲如來

오음[心身]을 취하지 않고서도 여래가 존재할 수 있다 할지라도
살아있는 동안에는 오음을 취해야 하고 오음에 의존해야 할 것이다.

6. If there does not exist a tathagata [who is]not depending on the aggregates,

how does he grasp [depend on? them]?

今實不受陰  更無如來法
若以不受無  今當云何受

만일 오온을 의지하지 않고서는 어떤 여래도 존재할 수 없다면
의존하지 않고서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 어떻게 취할 수가 있겠는가?

[v. 5 & 6 mirror each other grammatically

- (cf. Skt.) l.c of v. 6 is effectively redundant;

it serves as metric padding for the conditional na]

<해설>
여래가 五蘊을 가지거나, 그 속에 있는 것이 아니다.

여래가 五蘊을 취할 때 비로소 五蘊이 되고 여래가 된다.

五蘊을 떠나서 여래는 존재하지 않는다.

7. [Since] there is nothing to be grasped/dependent on,

there can be no grasping/depending.

There is no tathagata at all who is without grasping/depending.

若其未有受  所受不名受
無有無受法  而名爲如來

의존하지 않고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그렇다면 의존하지 않는 여래가 어떻게 존재할 수 있겠는가?

8. If having examined in five ways,

how can that tathagata who does not exist as that one or the other

be [conventionally] understood by grasping/depending?

若於一異中  如來不可得
五種求亦無  云何受中有

五蘊을 찾아보아도 동일성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는 相異한
그 여래가 어떻게 取着에 의해 알려질 수 있겠는가?

9. That which is grasped/depended on does not exist from its own nature.

It is impossible for that which does not exist

from its own nature to exist from another nature.

又所受五陰  不從自性有
若無自性者  云何有他性

取着은 自性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自性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어떻게 他性으로 존재할 수 있겠는가?

10. In that way, what is grasped/depended on

and what grasps/depends are empty in every aspect.

How can an empty tathagata be [conventionally] understood by what is empty?

以如是義故  受空受者空
云何當以空  而說空如來

이와 같이 取着(五陰)도 取着하는 자(如來)도 모두 공(空)하다.
그렇다면 공에 의해 공(空)한 여래가 어찌 알려질 수 있겠는가?

11. Do not say “empty,” or “not empty,” or “both,” or “neither:

” these are mentioned for the sake of [conventional] understanding.

空則不可說  非空不可說
共不共 說  但以假名說

공(空)하다고 말해도 안되고, 공(空)하지 않다고 말해도 안 된다.
공(空)한 동시에 공(空)하지 않기도 하다고 해서도 안되고
공(空)도 아니고 공(空)하지 않음도 아니다라고 말해서도 안된다.
다만 설명하기 위해 그렇게 표현할 따름이다.

12. Where can the four such as permanence and impermanence exist in this peaceful one?

Where can the four such as end and no-end [of the world] exist in this peaceful one?

寂滅相中無  常無常等四
寂滅相中無  邊無邊等四

적멸[여래의 相, 諸法實相] 속에
어떻게 常·無常·亦常亦無常·非常非無常 등의 四句가 있겠는가.
또한 적멸 속에
어떻게 有限, 無限 등의 四句가 있겠는가.

13. Those who hold the dense apprehension,

"the tathagata exists” conceive the thought, “he does not exist in nirvana.”

邪見深厚者  則說無如來
如來寂滅相  分別有亦非

여래는 존재한다고 깊은 집착에 사로잡힌 사람은
열반에 드신 여래에 대해서는 여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분별할 것이다.

[Ts. 378-9 says that while this version is found in Chandrakirti’s Prasannapada,

he prefers the version quoted by Buddhapalita:

/gang gis ‘dzin stug bzung gyur pa//de ni mya ngan ‘das pa

la//de bzhin gshegs pa yod ce’am//med ces rnam tog rtog par byed/.

Those who hold dense apprehensions conceive thoughts of the tathagata’s “existence”

or “non-existence” in nirvana.]

14. For that one empty of own-nature,

it is entirely inappropriate to think that once the buddha has nirvana-ed he

either “exists” or “does not exist.”

如是性空中  思惟亦不可
如來滅度後  分別於有無

그러나 여래는 본성이 空하므로,
여래께서 入滅하신 후, 여래가 존재한다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은 성립되지 않는다.(MS 22.14)

15. Those who make fixations about Buddha who is beyond fixations and without deterioration

-- all those who are damaged by fixations do not see the tathagata.

如來過戱論  而人生戱論
戱論破慧眼  是皆不見佛

戱論을 초월하신 不滅의 존재인 부처님을 戱論하는 사람은
모두 戱論에 의한 害惡으로 인해 여래를 볼 수가 없다.

16. Whatever is the own-nature of the tathagata, that is the own-nature of this world.

The tathagata has no own-nature. This world has no own-nature.

如來所有性  卽是世間性
如來無有性  世間亦無性

如來가 갖춘 自性이 바로 윤회하는 이 世間의 自性이다.
如來는 自性이 없으므로 윤회하는 이 世間도 自性이 없다.

如來의 自性, 그것은 이 세계의 自性이다.
如來는 自性이 없다. 이 세계도 自性이 없다.

如來가 갖는 自性은 곧 세간의 自性이다.
如來가 自性이 없으니 世間 또한 自性이 없다.

如來의 自體는 世間의 自體와 같으므로,
如來에 自體가 없을 때 世間 또한 자체가 없는 것이다.

如來의 自體는 곧 世間의 自體이다.
如來의 自體가 성립하지 않으니 世間 또한 自體가 없는 것이다.

<해설>
如來는 寂滅하므로 우리의 감각적 대상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非有],

그렇다고 완전한 無라고도 말할 수 없다.[非無]

이것이 非有非無의 중도적 견해이다.

自性을 가진 존재로 존속한다는 것은 常住論의 오류이고,

완전한 무로 돌아간다는 것은 斷滅論의 오류이다.

여래가 非有非無이듯이 세간도 非有非無이다.

空性에 있어서는 모두 평등한 것이다.

'불교사상 > 나가르쥬나 중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XTY STANZAS OF REASONING  (0) 2009.12.05
中論 / 觀成壞品  (0) 2008.12.22
中論 / 觀因果品  (0) 2008.10.13
中論 / 觀時品  (0) 2008.10.13
中論 / 觀法品  (9) 2008.10.13
posted by 푸른글2
: